맨위로가기 타임라인 바로가기

수도권 (대한민국)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타임라인 바로가기

1. 개요

수도권(대한민국)은 대한민국 법률상 서울특별시와 인천광역시, 경기도를 아우르는 지역을 의미한다. 1982년 제정된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라 개발이 규제되며, 대한민국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고려 시대부터 한반도의 중심지 역할을 해왔으며, 현재는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지로서 기능한다. 수도권은 세계적으로 인구 밀도가 높으며, 경제 규모도 세계 상위권에 속한다. 교통망이 잘 발달되어 있으며, 다양한 스포츠 팀들이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대한민국의 지역 - 경기북부
    경기도 북부에 위치한 경기북부는 경기도 전체 인구의 약 26%를 차지하며, 세 개 생활권으로 나뉘고, 서울과의 지리적 분리 및 인구 증가로 경기도청 북부청사를 비롯한 여러 행정 기관이 설치되어 분도 주장이 제기되어 왔다.
  • 대한민국의 지역 - 경기남부
    경기남부는 경기도의 남쪽 지역으로, 경기도 인구의 약 74%가 거주하며 과천시, 광명시, 광주시 등 19개 시·군과 양평군을 포함한다.
  • 인천광역시의 지리 - 경기만
    경기만은 강화만, 남양만 등을 포함하며 강화도, 영종도 등의 섬들이 속해 역사적, 산업적,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만이다.
  • 인천광역시의 지리 - 검단신도시
    인천광역시에 조성된 검단신도시는 대중교통망과 연결되고 특화구역이 조성되어 도시 매력을 높이는 동시에 다수의 학교 설립으로 교육 환경을 갖추었으나, LH 아파트 건설 현장 붕괴 사고로 부실 공사 논란이 있다.
수도권 (대한민국)
지도
기본 정보
이름수도권
한국어 표기hangul: 수도권
hanja: 首都圈
로마자 표기rr: Sudogwon
mr: Sudokwŏn
다른 이름Gyeonggi Region
hangul1: 경기 지방
hanja1: 京畿地方
rr1: Gyeonggi jibang
mr1: Kyŏnggi chibang
면적12,685 제곱킬로미터
주요 도시
주요 도시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수원시
안산시
안양시
고양시
성남시
부천시
용인시
인구
총 인구 (2020년)26,037,000명
총 인구 (2024년)26,048,160명
대한민국 전체 인구 비율~55% (5100만 명 중)
인구 밀도2,053 명/제곱킬로미터
경제
GDP (2022년)KRW 1,137조 (USD 9096억)
1인당 GRDP (2021년)49,680천 대한민국 원
기타
인간 개발 지수 (2022년)0.961 (매우 높음) 1위

2. 법률상 수도권

수도권정비계획법에 따르면 수도권은 서울특별시와 그 주변 지역을 의미하며, 여기서 주변 지역은 대통령령에 의해 인천광역시경기도를 포함한다.[1][2] 서울특별시행정특례에관한법률시행령에서도 수도권은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원으로 규정된다.[3]

2. 1. 관련 법률

수도권정비계획법 제2조 1항에 따르면 "수도권"이란 서울특별시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을 의미한다.[1] 수도권정비계획법 시행령 제2조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그 주변 지역"을 인천광역시경기도로 정의한다.[2] 서울특별시행정특례에관한법률시행령 제4조 1항에서는 수도권 광역 행정의 조정을 위해 "수도권 지역"을 서울특별시, 인천광역시, 경기도 일원으로 규정하고 있다.[3]

3. 역사

고려가 개경을 수도로 정하면서 한반도 중부경기 지방은 한국 전체의 중심지가 되었다. 조선 건국 후 수도가 경기 지방의 한양(서울특별시 한강 이북 지역)으로 이전된 후에도 이러한 중심지 역할은 이어졌다. 일제강점기에도 이 지역은 조선의 중심지였으며, 남북 분단 이후 현재까지도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문화 중심지로서 기능하며 대한민국 전체 인구의 절반 가량이 이곳에 밀집해 살고 있다.

3. 1. 인구 집중 현황

2019년 12월, 행정안전부의 인구통계에 따르면 수도권의 주민등록 인구는 2,592만 5,799명으로, 대한민국 총인구의 50%를 넘어섰다.[5] 2020년에는 수도권 인구가 25,925,799명으로, 전체 인구 51,849,861명의 50.002%를 차지했다.[5] 이러한 수도권 인구 집중은 주거지 부족 및 지역 불균형과 같은 문제를 야기했다.

수도권은 전체 면적의 약 12%에 불과하지만, 전국 인구의 48.2% 이상이 거주하며, 이는 세계에서 9번째로 큰 도시권 규모이다. 20세기 중반 이후 수도권 인구 비율은 꾸준히 증가해 왔으며, 앞으로도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현재 지역 간 이동 인구의 절반 이상이 수도권으로 이동하고 있다.

대한민국의 수도권은 세계적으로도 매우 인구 밀도가 높은 지역 중 하나이다. 면적은 일본아키타현(인구 약 90만 명)이나 자메이카(인구 약 280만 명)와 비슷하지만, 인구는 한국 전체의 50.7%인 약 2,601만 명에 달한다.[17] 이는 북한, 오스트레일리아, 북유럽의 총인구와 맞먹는 수치이다. 인구밀도는 2,220명/km²로, 일본 사이타마현보다 약간 높으며, 세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자와섬의 2배에 가깝다. 산악 지형으로 인해 주거 가능 지역 비율이 낮아 서울, 인천, 수원 등에는 고층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 있다.

이처럼 수천만 명 이상의 인구가 하나의 도시권에 집중된 나라는 한국 외에는 드물다. 이러한 집중 현상의 주요 원인으로는 한국의 대기업 본사와 명문 대학교 대부분이 서울특별시에 위치하고, 젊은 세대가 '서울 지향'이 될 수밖에 없는 사회 구조를 들 수 있다.

인구 과밀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수도권 전역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되어 토지 및 주택 매매, 담보 등에 제약이 있지만, 인구 집중 현상은 심화되어 왔다. 노무현대통령2002년 대통령 선거 당시 충청권 수도 이전 정책을 공약했고, 행정수도 이전 계획이 수립되었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서울이 수도라는 관습 헌법을 근거로 '신행정수도 건설 특별법'에 대해 위헌 결정을 내렸다. 결국 청와대,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 등을 제외한 행정 부처만 세종특별자치시로 이전하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박정희 정권 시절인 1970년대에도 대전광역시 주변으로 수도 기능을 이전하는 계획이 제기되었으나,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로 무산되었다. 이명박 정권은 2012년 세종특별자치시로 중앙 관청을 이전했지만, 수도권 인구 집중 완화 효과는 미미했고, 수도권 인구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4. 지리

양평, 가평, 연천 등 동북부 지역에는 산지가 많고, 그 외 지역은 전반적으로 평탄한 지형이다. 남한강북한강경기도 동쪽에서 만나 한강이 되어 경기 지방을 가로질러 황해로 흘러든다.

4. 1. 지리상 수도권 권역

2020년 서울 및 그 광역권의 위성 사진


수도권은 한강 유역의 평야에 자리 잡고 있다.[3] 전체적으로 평탄한 지형이며, 한강이 북서쪽으로 흘러 경기도를 가로질러 황해로 흘러든다. 북쪽은 휴전선, 서쪽은 해안선에 접해 있으며, 동쪽에는 강원특별자치도, 남쪽에는 충청북도·충청남도와 인접해 있다.

기후는 대륙의 영향으로 여름과 겨울의 기온차가 큰 대륙성 기후이다.

5. 상세 인구

대한민국 수도권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인구의 2분의 1, 남북한을 합친 인구의 3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19] 2024년 7월 기준 수도권의 상세 인구는 하위 섹션 "행정 구역별 인구"에 표로 정리되어 있다.

수도권은 전체 면적의 약 12%에 불과하지만, 전국 인구의 48.2% 이상을 차지하며, 세계에서 9번째로 큰 도시권이다. 2020년에는 수도권 인구가 전국 인구의 50%를 넘어서기도 했다.[5] 수도권의 인구 밀도는 매우 높아 2,220명/km²에 달하며, 이는 일본 사이타마현보다 높고 자와섬의 2배에 가깝다. 지형이 산악 지형이라 주거 가능 지역 비율이 낮아 고층 아파트가 많이 들어서 있다.

대기업 본사와 명문 대학교 대부분이 서울에 위치하여 젊은 세대의 '서울 지향' 현상이 나타나고, 이는 수도권 인구 집중의 주요 원인 중 하나로 꼽힌다. 박정희 정부 시절 수도 이전 계획이 있었으나 무산되었고, 이명박 정부 때 세종특별자치시로 중앙 관청을 이전했음에도 수도권 인구 비율은 계속 증가하고 있다.

5. 1. 행정 구역별 인구

대한민국 수도권은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대도시권을 형성하고 있으며, 대한민국 인구의 2분의 1이 거주하고 있다. 다음은 2024년 7월 말 주민등록에 따른 인구[19]이다.

행정 구역인구
서울특별시9,360,400 명
인천광역시3,012,997 명
경기도13,669,469 명



경기도의 시·군은 인구가 많은 순서대로 나열하였다.

행정 구역인구
수원시1,196,671 명
용인시1,083,456 명
고양시1,071,802 명
화성시956,503 명
성남시916,615 명
부천시773,689 명
남양주시733,244 명
안산시624,788 명
평택시594,712 명
안양시548,005 명
시흥시518,371 명
파주시507,470 명
김포시486,128 명
의정부시460,663 명
광주시394,164 명
하남시329,997 명
양주시282,215 명
광명시278,151 명
군포시258,509 명
오산시237,798 명
이천시223,056 명
안성시192,293 명
구리시186,408 명
의왕시155,329 명
포천시142,135 명
양평군126,668 명
여주시114,696 명
동두천시87,321 명
과천시85,132 명
가평군62,445 명
연천군41,035 명


6. 수도권 규제 지역 논란

인천광역시 옹진군 서해 5도 등 일부 지역은 지리적 위치와 행정구역의 불일치로 인해 수도권 규제와 관련하여 논란이 있다. 이들 지역은 수도권에 포함되어 규제를 받거나, 반대로 수도권에서 제외되어 개발에 제약을 받는 경우가 있다.[22][23]

6. 1. 주요 논란 지역


  • 경기도 화성시국화도는 지리적으로는 충청남도 당진시와 훨씬 가깝지만, 행정구역상으로는 경기도 화성시에 속해 있어서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는 지역이다. 섬의 일부 주민은 충청남도 당진시에 행정구역 편입을 바라고 있다.

  • 남이섬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춘천시 관할이어서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지 않지만,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한 남이섬 선착장과 인근 휴양지는 수도권 규제가 적용된다.

  • 경기도 이천시 장호원읍충청북도 음성군 감곡면청미천을 사이에 두고 서로 마주보고 사실상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지만, 장호원읍은 수도권 규제가 적용되고 감곡면은 수도권 규제 지역이 아니다. 따라서 청미천 동쪽의 감곡면 지역은 개발이 용이하나, 서쪽의 장호원읍은 개발이 제한된다.

7. 경제

행정구역면적 (km2)인구GDP (KRW)GDP (USD)
서울특별시605km29,586,195486조3.888조달러
인천광역시1063km22,945,454104조8320억달러
경기도10184km213,511,676547조4.376조달러
수도권11852km226,043,3251137조9.096조달러



2020년 기준 수도권의 지역내총생산은 약 9조달러로, 대한민국 전체 GDP의 약 절반을 차지했다.[6] 도쿄, 뉴욕, 로스앤젤레스에 이어 세계 4위 규모의 도시 경제권이며, 파리런던보다 앞선다.[8] 수도권에는 포브스 글로벌 2000 기업 59개의 본사가 있다.[9] 20세기 제조업 기반 경제에서 지식 기반 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수도권에는 디지털미디어시티판교테크노밸리와 같은 여러 고부가가치 사업단지가 있다.

수도권 산업 클러스터


수도권은 한국에서 가장 부유하고 살기 좋은 도시와 아파트가 있는 곳이지만, 특히 구세대와 신세대 지역 사이에 도시와 지역 간의 상당한 격차가 존재한다. 더 현대적이고 고급스러운 아파트와 인프라를 갖춘 신규 지역은 지역의 상업 중심지인 강남구와의 근접성과 함께 더 비싸다.[10]

8. 교통

수도권은 도로와 철도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경부선을 비롯한 대한민국의 많은 철도 노선이 이 지역에서 끝나며, 서울 지하철은 서울 모든 지역과 인천경기도 내 다른 주변 도시들을 운행하는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12][13]

이 지역은 항공 및 수상 교통의 중심지이기도 하다.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이 수도권에 있으며,[12] 인천의 페리 터미널에서는 국제선과 국내선 페리가 운항한다.[14]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는 서울 주변 위성 도시들을 연결한다.[15]

8. 1. 주요 교통 시설

수도권은 도로와 철도로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대한민국의 많은 철도 노선, 특히 경부선이 이 지역에서 끝난다. 또한, 서울 지하철이 서울의 모든 지역과 인천경기도 내 다른 주변 도시들을 운행하는 고속철도 서비스를 제공한다.[12][13]

이 지역은 항공 및 수상 교통의 중심지이다. 대한민국에서 가장 큰 두 공항인 인천국제공항김포국제공항이 수도권에 있다.[12] 인천의 페리 터미널에서는 국제선과 국내선 페리가 하루에 여러 번 출발한다.[14]

서울외곽순환고속도로(100번 고속도로)는 서울 주변 위성 도시들을 연결한다.[15]

주요 고속도로는 다음과 같다.



주요 철도는 다음과 같다.



주요 공항은 다음과 같다.


9. 교육

대한민국 수도권에는 서울대학교, 연세대학교, 고려대학교 등 주요 대학들이 밀집해 있어, 교육 수준이 높고 다양한 교육 기회가 제공된다. 이로 인해 수도권은 교육 중심지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며, 많은 학생들이 수도권으로 유입되고 있다.

9. 1. 주요 교육 기관

학교명소재지비고
서울대학교서울특별시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특별시舊 서울산업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서울특별시
경인교육대학교인천광역시舊 인천교육대학교
육군사관학교서울특별시
한경국립대학교경기도 안성시舊 안성산업대학교
한국방송통신대학교서울특별시
한국예술종합학교서울특별시
한국체육대학교서울특별시
인천대학교인천광역시
서울시립대학교서울특별시
가천대학교경기도 성남시
가톨릭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부천시
강남대학교경기도 용인시
건국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대학교경기도 수원시경기대학교 서울캠퍼스
경기과학기술대학교경기도 시흥시
경희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고려대학교서울특별시
광운대학교서울특별시
국민대학교서울특별시
단국대학교경기도 용인시
대진대학교경기도 포천시
동국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고양시동국대학교 바이오메디캠퍼스
루터대학교경기도 용인시
명지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명지대학교 자연캠퍼스
삼육대학교서울특별시
상명대학교서울특별시
서강대학교서울특별시
서경대학교서울특별시
성결대학교경기도 안양시
성균관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수원시성균관대학교 자연과학캠퍼스
수원대학교경기도 화성시
숭실대학교서울특별시
세종대학교서울특별시
신한대학교경기도 의정부시, 동두천시
아주대학교경기도 수원시
안양대학교경기도 안양시
연세대학교서울특별시
용인대학교경기도 용인시
인하대학교인천광역시
차의과학대학교경기도 포천시
칼빈대학교경기도 용인시
평택대학교경기도 평택시
한국산업기술대학교경기도 시흥시
한국외국어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용인시한국외국어대학교 글로벌캠퍼스
한국항공대학교경기도 고양시
한양대학교서울특별시, 경기도 안산시한양대학교 ERICA캠퍼스
한성대학교서울특별시
한세대학교경기도 군포시
한신대학교경기도 오산시
협성대학교경기도 화성시
홍익대학교서울특별시
덕성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동덕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서울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성신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숙명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숭의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이화여자대학교서울특별시


10. 스포츠

대한민국 수도권은 다양한 스포츠 팀과 시설이 밀집해 있어 스포츠 팬들에게 풍부한 볼거리를 제공한다. 프로 스포츠 리그는 물론 아마추어 리그까지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으며,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도 자주 개최된다.

10. 1. 주요 스포츠 팀

서울올림픽보조경기장인천 현대제철 레드엔젤스1993년인천남동아시아드럭비경기장수원시설관리공단2008년수원종합운동장이천 대교2002년이천종합운동장V-리그 (남)서울 우리카드 위비2008년장충체육관인천 대한항공 점보스1986년계양체육관수원 한국전력 빅스톰1992년수원실내체육관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1976년의정부체육관안산 OK금융그룹 읏맨2013년상록수체육관V-리그 (여)GS칼텍스 서울 KIXX1970년장충체육관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1991년삼산월드체육관수원 현대건설 힐스테이트1995년수원실내체육관성남 한국도로공사 하이패스 제니스1970년성남실내체육관화성 IBK기업은행 알토스2011년화성실내체육관아시아리그 아이스하키안양 한라1994년안양종합운동장 빙상장대명 상무2013년목동 아이스링크


참조

[1] 웹사이트 2018년 지역소득(잠정) http://kostat.go.kr/[...]
[2] 웹사이트 Sub-national HDI - Area Database - Global Data Lab https://globaldatala[...] 2018-09-13
[3] 논문 A Limited Archæological Survey of the Han River Valley in Central Korea https://www.jstor.or[...] 1960
[4] 웹사이트 Population Census https://kosis.kr/sta[...] Statistics Korea
[5] 웹사이트 Greater Seoul population exceeds 50% of S. Korea for first time https://english.hani[...] 2023-08-20
[6] 웹사이트 2022년 지역소득(잠정) https://kostat.go.kr[...]
[7] 웹사이트 South Korean Won to US Dollar Spot Exchange Rates for 2022 https://www.exchange[...]
[8] 웹사이트 Global Wealth GDP Nominal Distribution: Who Are The Leaders Of The Global Economy? - Full Size https://www.visualca[...] 2022-03-27
[9] 웹사이트 The World's Largest Public Companies https://www.forbes.c[...]
[10] 웹사이트 미군 잔류로 낙후된 동두천, 특별법 제정해야 http://www.yonhapnew[...] 2014-12-23
[11] 웹사이트 The Statistic of Seoul https://www.seoulsol[...] 2023-08-20
[12] 웹사이트 Getting around Seoul is easy for first-timers with these simple tips https://www.lonelypl[...] 2023-08-20
[13] 웹사이트 Seoul public transportation - Seoul metro maps https://english.seou[...] 2023-08-20
[14] 웹사이트 Incheon Port International Passenger Terminal http://www.icferry.o[...] 2023-08-20
[15] 웹사이트 First DoubleTree by Hilton Hotel coming to Korea https://www.koreatim[...] 2023-08-20
[16] 웹사이트 Demographia World Urban Areas, 19th Annual Edition http://www.demograph[...] Demographia 2023-11-01
[17] 웹사이트 人口と就業者の過半数 ソウルなど首都圏に集中=韓国 https://m-jp.yna.co.[...]
[18] 웹인용 2021년 서울 1인당 GRDP 4만달러 돌파…전년대비 3.4%↑ https://www.yna.co.k[...] 2024-10-23
[19] 웹사이트 주민등록 인구통계 https://jumin.mois.g[...] 행정안전부 2024-08-07
[20] 문서 서울 서남부와 접해있으며 주요 생활권이 서울 서남부인 김포시 고촌읍은 경기 서북부로 보기에 상당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 있으며 고촌읍은 비교적 인접한 부천시와 시흥시 북부와도 교류가 상당히 많은 지역으로서 경기 서북부로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보통 김포시 고촌읍까지는 경기 서남부로 보는 이유에서 때문인지 고촌읍의 서울 편입이나 다른 도시로서의 편입론이 나오는 이유이기도 하다.
[21] 문서 서울 서남부인 강서구와 접하며 서울 서남부 생활권인 김포시 고촌읍에 한해서 경기 서남부로 보기도 한다.
[22] 뉴스 서해 5도 등 접경지역 '수도권'에서 빠질까 https://news.naver.c[...] 동아일보 2011-12-06
[23] 뉴스 한나라당, 서해5도 등 수도권 범위 제외 추진 https://news.naver.c[...] 파이낸셜뉴스 2011-02-20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